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기천문

단배공 단배공   기천수련에 임하기 전에 마음가짐을 바르게 하여 예의를 지키는 의미와 단전을 단련하는 연단의 법으로서 기천의 예법이며 인사법이다.  기천의 예법으로서 선 자세에서 약식으로 하는 반배와 엎드려서 하는 단배공이 있다. 이 자세는 기천의 수련에서 전수되어오던 자세로서 초보자들의 단전형성은 물론 반복수련을 통하여 몸 속에 저절로 공이 쌓이는 연단의 법이다.  기천의 설화에 의하면, 이 법은 공부가 많이 된 산중도인들의 수행법이며 정기신(精氣神)을 일치시켜 우주(자연)와 내가 하나가 되는 동양철학(한민족의 철학)의 심오한 원리를 바탕으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의 인사법과 다르며 특히 종교적인 의식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단배공의 순서를 살펴보자. 1똑바로 양발을 모으고 선 자세에서 어깨에 힘을 풀고 .. 더보기
수련과정 수련과정 기천의 일곱단계 수련과정 기천의 7단계 수련과정을 자세히 살펴본다. 행인과정 행인(行人)과정에서는 입문과정, 초급과정, 중급과정, 상급과정으로 구분하고 각 과정마다 2∼4개월의 수련기간을 필요로 하며, 행인과정 전체를 이수하는데 필요로 하는 기간은 수련생의 연령, 성별, 체질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보통 1∼2년이 소요된다. 행인과정을 마치면 소정의 심사를 거쳐 기천 정회원의 자격이 주어지며, 공인과정과 지도자 과정에 입문할 자격이 주어진다. 공인과정 공인(功人)과정에서는 초급, 중급, 상급과정으로 구분하고, 각 과정마다 6∼10개월의 수련기간을 필요로 하며, 공인과정 전체를 이수하는데 필요로 하는 기간은 2∼3년이 소요된다. 공인과정을 마치면, 소정의 심사를 거쳐 정인과정에 입문할 자격과.. 더보기
범도 육합단공 중 두 번째 나오는 정적인 자세이다. 내가신장의 응용 동작으로서 ‘범도세’ 또는‘범도’라고 부르기도 한다. 마치 범이 먹이를 노리고 있는 자세와도 흡사하다. 범도세는 형을 완성하는 동작으로서 한쪽 다리에 자기의 체중 90퍼센트 이상을 싣는다. 동적인 흐름을 하기 위한 정적인 기초훈련이라고 볼 수 있다. 자세의 포인트는 내가신장과 마찬가지로. 엉덩이를 뒤로 뺀 채로 허리는 곧게 세워주고 하체는 안쪽으로 힘을 준다. 이것은 모든 육합자세가 공통적인 부분이다. 하체와 골반을 안쪽으로 틀어 모으는 역근, 엉덩이는 뒤로 빼고 허리를 세우는 역근, 양손은 전부 뻗은 듯 하나 손목을 안쪽으로 강하게 세워주는 역근. 즉 전신을 역근과 함께 들어간다. 건강적인 차원에서는 족근경맥의 경락을 유통시켜 방광, 간, .. 더보기
기천문 수련을 만나다 기천문(氣天門) 수련을 만나다. 임종국 서서히 나타난 기천문 수련의 힘어릴 때, 아저씨들이 동네 어귀에 나무를 다듬어 평행봉을 만들어 두고 매일 저녁 모여서 운동을 하며 이야기를 나누곤 하였다. 그때 그 아저씨들의 이야기를 엿들은 적이 있다.얘기인즉슨 열심히 운동을 하다 보면 ‘허연 노인’이 나타나서 권법을 가르쳐 준다는 것이였다. 이 말을 믿고 허연 노인이 나에게 나타나 주기를 맹목적으로 기다렸던 시절도 있었다. 그런 기대와 함께 운동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이러한 마음이 봄, 여름, 가을, 겨울 할 것 없이 냇가에서 발가벗고 수영을 하게 하는 힘이 되었다.공군에 입대하여 장교로 임관을 하였다. 임관 후부터는 일과가 끝나고 나면, 매일 비행장 외곽을 한 바퀴 돌며 구보를 하였다. 구보를 할 때마다 참을 .. 더보기
기천문 전국 수련원 [공유] 지역별 수련원 전화번호 및 주소 입니다. 참고하세요 ^^ 전국 기천문 수련원 방금 전 수정 삭제https://blog.naver.com/koohungsu1/221462999980통계보기 번역하기 전용뷰어 보기첨부파일 (1) 카페 > 기천문 계룡 본산 | 복이 http://cafe.naver.com/kichonmun/2632기천문 본산(계룡) 문 주 : 박 사 규핸드폰 : 010-7533-5072이메일 : kicheonmun@naver.com수련원주소 : 구주소 : 충남 공주시 계룡면 하대리 21번지 신주소 : 하대리 안터길 55전화번호 : 041-855-5072 중앙 연수원 원 장 : 전찬욱핸드폰 : 010-3902-2562이메일 : lowmountain@naver.com 서 울 장안동수련원원 .. 더보기
기천문 역사 더보기
금화장 일곱가지 수로 이루어진 칠보절권 중 금화장은 가장 마지막 단계에 배우는 동공법이다. 화려하게 감아 뽑아내는 손놀림, 단기간의 연마로는 쉽게 표현하기 어렵다. 금화장(金華掌)은 금계화장(金鷄華掌)의 빛날화(華)를 따온 장법이다. 역근법으로 화려하게 감아치고 들어가기 때문에 난이도가 높고 연마의 기간도 높은 수다. 수련의 방법 1) 금화장의 감아채는 결은 기본적으로 반장수가 숙달된 상태에서 연습하도록 한다. 어찌보면 반장결과 금화장결은 손모양이 많이 다른 것 같지만 반장이라는 것은 원의 형태 그 자체 이기 때문에 사실상 자유로운 반장 결 속에서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결들이 나온다고 볼 수 있다. 그러니 기본적인 반장 공부는 시작이지만 동시에 끝까지 해야하는 공부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2) 먼저 범도세를.. 더보기
풍수 칠보절권 중 하나인 풍수(風手)는 반탄(反彈)을 이용해 원으로 감아서 치는 것을 말한다. 양 손을 태극의 형태로 감아 작은 힘으로도 큰 힘을 발휘하기 때문에 작은 체구의 사람도 큰 힘을 낼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이러한 표현에는 직선보다 더욱 무한한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원’의 원리를 이미 오래전 깨우치신 조사님들의 지혜가 담겨있다.반탄은 항상 힘을 쓰려는 방향과 반대로 역근(逆筋)하여 궁극적으로 목표인 합(合)에 도달하였을 때 공격의 탄력성을 높여준다. 또 끊어서 치는 것이 아니라 물 흐르듯이 연결하며 쭉쭉 밀어서 찔러주는 솜씨는 엄청난 파괴력과 함께 언제나 예상 밖의 권법(拳法)을 하나 더 가지고 있어서 상대의 허점을 공격한다. 수련의 방법 1) 풍수를 표현하기 위해 먼저 내가신장의 기마자세에서 .. 더보기

반응형